사업 목적 (창업도약패키지는 왜 하는걸까요?)
1.
창업기업의 데스밸리(Death Valley) 극복
•
창업 후 3~7년 차 기업은 제품·서비스를 개발했지만 시장 안착과 매출 확대에 어려움을 겪는 시기입니다.
•
이 기간을 극복하지 못하면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므로 사업화 자금과 성장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습니다.
2.
맞춤형 성장 지원
•
창업기업마다 성장 방식이 다르므로, 일반형, 투자병행형(전문형), 대기업 협업형 등 다양한 유형을 운영하여 기업별로 적합한 지원을 제공합니다.
3.
시장 연계 및 외부 협력 강화
•
단순히 정부 지원금으로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, 투자 유치(VC·AC), 대기업 협업(PoC), 판로 개척 등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생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합니다.
✓ 금년도에 나눠진 분류에 따라 정리해 보았습니다.
1. 창업도약패키지 (일반형)
•
목적: 창업 3년 초과 7년 이내 기업의 사업화 자금 지원 및 성장 촉진
•
지원금: 최대 2억 원 (평균 지원금 1.3억 원 내외)
•
특징:
◦
다양한 업종의 창업기업이 신청 가능
◦
기업의 성장과 스케일업을 위한 사업화 지원 중심
2. 창업도약패키지 (투자병행형)
* 법인기업만 신청가능
•
목적: 투자 유치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와 사업화 지원을 병행
•
지원금: 최대 3억 원 (평균 지원금 1.5억 원 내외)
•
특징:
◦
한국벤처투자(KMC) 투자 연계
◦
사업화 자금은 창업기업 선정평가 및 사업비 사용계획 적정성 등을 고려하여 차등 배정
◦
투자는 보조(사업화 자금)에 1:1 매칭하여 'SAFE' 방식(조건부지분인수계약)으로 투자 예정
3. 창업도약패키지 (대기업 협업형)
•
목적: 대기업과 협력할 수 있는 기업을 선정해 사업화 및 협업 기회 제공
•
지원금: 최대 2억 원 (평균 지원금 1.3억 원 내외)
•
특징:
◦
지원을 희망하는 대기업(1개)를 선택하여 신청
◦
대기업이 직접 멘토링 및 협력 기회를 제공
◦
대기업과의 PoC(Proof of Concept, 개념 검증) 기회 제공
차이점 요약
유형 | 지원금 | 주요 특징 |
일반형 | 최대 2억(평균 지원금 1.3억원 내외) | 다양한 창업기업 지원, 사업화 중심 |
투자병행형 | 최대 3억(평균 지원금 1.5억원 내외) | 투자 유치 가능성이 높은 기업 대상 |
대기업 협업형 | 최대 2억(평균 지원금 1.3억원 내외) | 대기업과의 협업, PoC 및 공동 사업 추진 기회 제공 |
모집 요건 비교
유형 | 모집 규모 | 평가 지표 |
일반형 | 253개사 | 창업아이템 개발 동기 및 현황
창업아이템 목표 시장 분석, 시장 현황
창업아이템 사업화 추진 전략, 자금 운용계획
기업 구성 및 보유 역량, 보유 인프라 활용 계획 |
투자병행형 | 20개사 | 창업아이템 개발 동기 및 현황
창업아이템 목표 시장 분석, 시장 현황
창업아이템 사업화 추진 전략, 자금 운용계획
기업 구성 및 보유 역량, 보유 인프라 활용 계획 |
대기업 협업형 | 100개사 | 창업아이템 개발 동기 및 현황
창업아이템 목표 시장 분석, 시장 현황
창업아이템 사업화 추진 전략, 자금 운용계획
기업 구성 및 보유 역량, 보유 인프라 활용 계획
(+) 대기업 협업(공동사업화) 목표 및 계획 |
•
순수 사업화 지원이 필요하다면 → 일반형
•
투자 유치와 함께 성장하고 싶다면 → 투자병행형(전문형)
•
대기업과 협업하고 싶다면 → 대기업 협업형